미국 지수 4 대장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간략 소개

이번 시간에는 미국 지수 4 대장이라 불리는 다우 존스 지수, S&P500, 나스닥 지수 그리고 약간은 생소한 러셀2000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중점적으로 보셔야 하는 부분은 해당 지수들이 어떤 기업을 기준으로 지수를 내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네, 지수마다 기업 선정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무엇이 다른지 확인해 볼까요?



목차



미국 지수 4 대장

1. 다우 존스 지수 (DIA)

다우지수 DIA는 Dow Jones Industrial Averages를 줄인 말입니다. 해당 지수는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 중 우량 기업 30개를 지정하여 주식 가격 지수화한 자료인데요. 여러 산업군의 굵직한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고, 가장 오래된 미국 지수로 미국 주식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지수입니다.



오리지널 다우지수는 S&P 글로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여담으로 24년 5월 기준 30개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3M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 암젠
  • 애플
  • 보잉
  • 캐터필러
  • 쉐브론
  • 시스코
  • 코카콜라
  • 월트 디즈니 컴퍼니
  • 다우
  • 골드만삭스
  • 홈디포
  • 허니웰
  • IBM
  • 인텔
  • 존슨앤드존슨
  • JP모건 체이스
  • 맥도날드
  • MSD
  • 마이크로소프트
  • 나이키
  • 프록터 & 겜블
  • 세일즈포스
  • 트래블러스
  • 유나이티드 헬스 그룹
  • 버라이즌
  • 비자
  • 아마존닷컴
  • 월마트


2. S&P500

에스앤피 500 지수는 입에 착 달라붙는데요. 해당 지수는 신용평가기관인 S&P사가 지정한 500개 우량기업 시가 총액을 기준으로 지수화한 지표입니다. 가장 최근 구성 기준으로 하면 503개 기업이 포함되어 있어요. 구성에 포함된 기업 목록은 한경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다우 지수보다 표본이 넓기 때문에 현재 가장 많이 참고하는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나스닥 지수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모든 기업의 시가 총액을 지수화한 자료입니다. 나스닥 시장은 한국의 코스닥 시장으로 보면 이해하기 쉬운데요. 기술주와 벤처기업들이 다수 포진되어 있어요. 그래서 기술, IT 분야 흐름을 파악하기에는 나스닥 지수만 한 게 없습니다.



4. 러셀2000

러셀2000 지수는 약간 생소하시죠? 경제 뉴스에서도 잘 다루지 않는 마이너한 지수인데요. 해당 지수는 미국 상장 기업 중 시가총액 상위 3,000개를 기준으로 상위 1,000개를 제외한 2,000개 기업의 주식을 지수화한 자료입니다. 쉽게 말해 미국 중견부터 중소기업까지 모아둔 지수입니다. 해당 지수를 보는 이유는 여기에 포함된 기업들이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최상위 기업이 아닌 미국 실제 경기 흐름을 살펴보기 좋다는 평가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상으로 미국 지수 4 대장인 다우 존스 지수, S&P500, 나스닥 지수, 러셀2000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당 지수들은 구글 검색 시 당일 차트를 볼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