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여러분이 궁금해하실 퇴직연금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혹시 퇴직연금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계신가요? 많은 사람들이 ‘퇴직금’이라는 용어와 혼동하는 경우도 많지만, 사실 퇴직연금은 전혀 다른 개념이에요. 근로자의 노후를 보다 안정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인 퇴직연금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이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퇴직연금을 더 잘 이해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할 수 있길 바라요.
💸 흥미로운 금융 상식
목차
1. 퇴직연금이란?
먼저 퇴직연금 종류를 알아보기전, 퇴직연금이란 무엇인지부터 간단히 짚고 넘어가볼까요? 퇴직연금은 근로자가 퇴직 후에도 꾸준히 소득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업과 개인이 함께 만드는 제도입니다. 흔히 “노후 대비 자금”이라고 표현되며, 법적으로 근로기준법 및 관련 세법에 따라 운영됩니다. 일반적인 퇴직금과 달리, 퇴직연금은 사전에 외부 금융기관에 자금을 적립해 관리한다는 차이점이 있어요. 그렇다면 퇴직금과 퇴직연금의 차이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퇴직연금과 퇴직금의 차이
- 퇴직금 : 고용주가 퇴직 시 일괄 지급하며, 별도로 적립되지 않음.
- 퇴직연금 : 퇴직금이 외부 금융회사에 미리 적립되어 운영되고, 운용 결과에 따라 수익을 얻게 됨.
즉, 퇴직금은 보통 한 번에 목돈으로 받는다면, 퇴직연금은 장기간에 걸쳐 꾸준히 관리하여 안정적인 노후 재원으로 사용하는 제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퇴직연금 종류
퇴직연금 종류에는 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 그리고 개인형퇴직연금(IRP) 이렇게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어요. 각각 어떤 특징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볼게요.
(1) 확정급여형(DB형)
DB형은 회사가 퇴직금을 미리 정해놓고, 이를 책임지는 형태입니다. 쉽게 말하면 “근로자가 얼마를 받을지 확정되어 있는 구조”라고 볼 수 있어요.
- 운용 주체: 기업
- 수익/손실 부담: 기업이 책임짐
- 장점: 근로자는 확정된 금액을 수령하기 때문에 안정적
- 단점: 기업 입장에서 큰 부담이 될 수 있음
예를 들어, 퇴직 시점에서 평균 연봉이 5천만 원이고 근속기간이 10년이라면, 약 5천만 원 이상의 퇴직금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이는 기업의 재정 상태에 크게 의존하게 되죠.
(2) 확정기여형(DC형)
DC형은 매년 기업이 일정 금액(대개 연봉의 1/12 이상)을 근로자 명의 계좌에 넣고, 이를 근로자가 직접 운용하는 방식이에요. 따라서 퇴직 후 수령액은 본인의 운용 성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 운용 주체: 근로자
- 수익/손실 부담: 근로자가 책임짐
- 장점: 운용 전략에 따라 높은 수익률 기대 가능
- 단점: 투자 성과에 따라 금액 변동, 위험 부담 큼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DC형 퇴직연금으로 1억 원을 적립하고 안정적인 펀드에 투자했다면, 이를 기반으로 퇴직 후 추가 수익을 누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손실이 날 경우 원금 손실 가능성도 있다는 점은 꼭 고려해야 해요.
(3) 개인형퇴직연금(IRP)
IRP는 기존 DB형이나 DC형에서 퇴직한 사람이 기존 적립금을 한 계좌에 모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개인 사업자나 자영업자도 가입 가능하다는 점에서 폭넓은 활용이 가능하죠.
- 운용 주체: 가입자 본인
- 수익/손실 부담: 본인이 책임짐
- 장점: 자유로운 추가 납입, 절세 혜택
- 단점: 운용 성과에 따라 퇴직 후 수령액 변동
특히 IRP는 퇴직연금 종류 중 근래 가장 각광받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자산 관리와 절세 효과 면에서 매우 유용해요. IRP 가입자 유형별 혜택으로는 소득공제를 통한 세금 절감, 비과세 혜택 등이 대표적입니다.
3. IRP 개설부터 운용까지 가이드
혹시 “IRP를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고민 중이신가요? 아래 간단한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가입 조건 확인
근로자뿐 아니라 개인사업자, 전문직 종사자 등 다양한 직군에서 가입 가능합니다.
계좌 개설
은행, 증권사 등을 통해 IRP 계좌를 개설합니다. 최근에는 모바일 앱에서도 간편하게 신청 가능하답니다.
운용 계획 세우기
안정적인 채권형 펀드 또는 성장성을 지닌 주식형 펀드를 선택하거나 분산 투자하는 전략을 세워보세요.
수익 모니터링
정기적으로 계좌 수익률을 체크하고 필요한 경우 리밸런싱을 진행합니다.
참고로, IRP는 본인이 적립한 금액에 대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해 보세요!
2024 퇴직연금 수익률
사업자명 | 원리금구분 | 확정급여형(DB) | 확정기여형(DC) | 개인IRP |
KB증권 | 원리금 보장 | 4.01 | 5.24 | 5.84 |
원리금 비보장 | 9.73 | 8.11 | 10.05 | |
NH투자증권 | 원리금 보장 | 4.16 | 3.79 | 3.66 |
원리금 비보장 | 8.78 | 9.83 | 10.61 | |
대신증권 | 원리금 보장 | 4.02 | 3.97 | 4.01 |
원리금 비보장 | 7.96 | 8.22 | 10.11 | |
미래에셋증권 | 원리금 보장 | 3.88 | 3.78 | 3.69 |
원리금 비보장 | 5.58 | 12.17 | 12.48 | |
삼성증권 | 원리금 보장 | 4.16 | 3.80 | 3.48 |
원리금 비보장 | 7.97 | 11.67 | 11.99 | |
신영증권 | 원리금 보장 | 3.31 | 4.03 | 3.64 |
원리금 비보장 | 3.91 | 4.42 | 5.98 | |
신한투자증권 | 원리금 보장 | 4.06 | 3.84 | 3.89 |
원리금 비보장 | 3.49 | 8.01 | 10.51 | |
아이엠증권 | 원리금 보장 | 4.04 | 4.46 | 3.31 |
원리금 비보장 | 6.70 | 6.96 | 3.65 | |
우리투자증권 (구.포스증권) | 원리금 보장 | – | – | 3.75 |
원리금 비보장 | – | – | 7.61 | |
유안타증권 | 원리금 보장 | 3.61 | 3.51 | 4.78 |
원리금 비보장 | 10.17 | 5.07 | 11.72 | |
하나증권 | 원리금 보장 | 4.05 | 4.28 | 4.49 |
원리금 비보장 | 7.57 | 8.35 | 8.66 | |
한국투자증권 | 원리금 보장 | 4.00 | 4.50 | 4.61 |
원리금 비보장 | 5.55 | 9.82 | 10.54 | |
한화투자증권 | 원리금 보장 | – | 5.01 | 5.62 |
원리금 비보장 | – | 9.52 | 8.41 | |
현대차증권 | 원리금 보장 | 4.09 | 3.80 | 3.56 |
원리금 비보장 | 6.93 | 11.84 | 4.87 | |
DB생명보험 | 원리금 보장 | 3.32 | 3.77 | 3.96 |
원리금 비보장 | 0.00 | 3.54 | 4.68 | |
교보생명보험 | 원리금 보장 | 4.39 | 3.70 | 3.43 |
원리금 비보장 | 8.32 | 9.50 | 8.33 | |
동양생명보험 | 원리금 보장 | 3.58 | 3.73 | 3.90 |
원리금 비보장 | 0.00 | 7.92 | 10.91 | |
미래에셋생명보험 | 원리금 보장 | 4.22 | 3.61 | 3.18 |
원리금 비보장 | 6.51 | 12.91 | 12.05 | |
삼성생명보험 | 원리금 보장 | 3.88 | 3.80 | 3.79 |
원리금 비보장 | 7.37 | 9.67 | 7.85 | |
신한라이프생명보험 | 원리금 보장 | 3.38 | 3.23 | 3.01 |
원리금 비보장 | 0.00 | 1.64 | 6.45 | |
아이비케이연금보험 | 원리금 보장 | 4.34 | 4.15 | 3.76 |
원리금 비보장 | -3.79 | 5.25 | 2.27 | |
푸본현대생명보험 | 원리금 보장 | 4.31 | 3.88 | 3.84 |
원리금 비보장 | 3.77 | 4.79 | 4.82 | |
한화생명보험 | 원리금 보장 | 4.04 | 3.90 | 3.39 |
원리금 비보장 | 6.84 | 7.70 | 9.48 | |
흥국생명보험 | 원리금 보장 | 3.81 | 3.30 | 2.83 |
원리금 비보장 | 0.00 | 2.96 | 1.98 | |
DB손해보험 | 원리금 보장 | 3.76 | 3.16 | 3.28 |
원리금 비보장 | – | 2.68 | 0.86 | |
롯데손해보험 | 원리금 보장 | 4.12 | 3.50 | 3.48 |
원리금 비보장 | – | 3.69 | 4.39 | |
삼성화재해상보험 | 원리금 보장 | 3.94 | 3.21 | 2.87 |
원리금 비보장 | 13.30 | 4.56 | 3.95 | |
KB손해보험 | 원리금 보장 | 3.89 | 3.50 | 3.48 |
원리금 비보장 | 8.41 | 3.09 | 4.76 | |
한화손해보험 | 원리금 보장 | 2.75 | 0.00 | 0.00 |
원리금 비보장 | 0.00 | 0.00 | 0.00 | |
현대해상화재보험 | 원리금 보장 | 3.92 | 3.20 | 3.10 |
원리금 비보장 | – | 7.94 | 6.90 | |
BNK경남은행 | 원리금 보장 | 3.21 | 3.19 | 3.25 |
원리금 비보장 | 0.85 | 10.35 | 7.72 | |
BNK부산은행 | 원리금 보장 | 3.40 | 3.36 | 3.34 |
원리금 비보장 | 8.74 | 8.23 | 5.00 | |
IBK기업은행 | 원리금 보장 | 3.31 | 3.36 | 3.39 |
원리금 비보장 | 5.70 | 10.00 | 8.86 | |
KB국민은행 | 원리금 보장 | 3.65 | 3.45 | 3.24 |
원리금 비보장 | 6.74 | 10.49 | 10.34 | |
KDB산업은행 | 원리금 보장 | 3.62 | 3.06 | 3.55 |
원리금 비보장 | 6.38 | 7.21 | 7.04 | |
NH농협은행 | 원리금 보장 | 3.41 | 3.25 | 3.07 |
원리금 비보장 | 6.31 | 7.32 | 7.74 | |
iM뱅크(구 대구은행) | 원리금 보장 | 3.32 | 3.44 | 3.67 |
원리금 비보장 | 7.03 | 4.48 | 5.41 | |
광주은행 | 원리금 보장 | 3.48 | 3.26 | 3.43 |
원리금 비보장 | 2.49 | 8.32 | 10.19 | |
신한은행 | 원리금 보장 | 3.62 | 3.30 | 3.24 |
원리금 비보장 | 7.99 | 10.55 | 9.88 | |
우리은행 | 원리금 보장 | 3.60 | 3.34 | 3.29 |
원리금 비보장 | 5.84 | 9.79 | 9.69 | |
제주은행 | 원리금 보장 | – | 3.69 | 2.46 |
원리금 비보장 | – | – | 0.48 | |
하나은행 | 원리금 보장 | 3.73 | 3.49 | 3.32 |
원리금 비보장 | 6.14 | 12.83 | 10.78 |
사업자별, 종류별 수익률 순위 5개는 별도로 표시했으니, 참고하시길 발바니다.
올바른 선택을 위해
지금까지 살펴본 퇴직연금 종류를 통해 어떤 유형이 나에게 적합할지 감이 잡히셨나요? 퇴직연금은 단순히 퇴직금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노후를 위한 중요한 재테크 도구로 작용합니다. 각 유형의 장단점을 비교해 본인 상황에 가장 알맞은 방식을 선택하시길 추천드려요.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은 점은, 퇴직연금을 통해 안정적인 노후 자금을 확보하려면 적극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오늘부터 여러분의 퇴직연금 플랜을 진지하게 고민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 흥미로운 금융 상식